Excel의 전기차소개
라즈베리파이 NAS 5편 – 외부에서 접속하는 방법 본문
IT이야기

라즈베리파이 NAS 5편 – 외부에서 접속하는 방법

elec-car 2025. 4. 2.

라즈베리파이 NAS 5편 – 외부에서 접속하는 방법 (DDNS + 포트포워딩)

이제 내 NAS를 집 안에서만 쓰는 게 아니라, 회사에서, 카페에서, 여행 중에도 접속할 수 있다면 진짜 개인 클라우드가 되겠죠? 이번 편에서는 외부 접속을 가능하게 만들어주는 DDNS 설정공유기 포트포워딩에 대해 다룹니다. 조금 기술적인 이야기지만, 따라만 하시면 완전히 새로운 세상이 열립니다.

DDNS란? 개념과 필요성

보통 외부에서 NAS에 접속하려면, 공인 IP 주소를 알아야 합니다. 그런데 대부분의 가정용 인터넷은 공인 IP가 자주 바뀌는 동적 IP예요. 그래서 매번 IP가 바뀌면 접속 주소도 바뀌기 때문에 외부 접속이 불가능하죠.

💡 여기서 등장하는 게 바로 DDNS!

DDNS(Dynamic DNS)는 바뀌는 IP 주소를 고정된 도메인 주소로 연결해주는 서비스예요. 예: mynas.ddns.net 이런 주소를 만들어두면, 실제 IP가 바뀌더라도 해당 주소로 NAS에 접근이 가능해져요.

 

DDNS
DDNS

 

무료 DDNS 주소 만들기 (No-IP 기준)

무료로 DDNS 서비스를 제공하는 곳은 여러 군데 있지만, 가장 접근성이 좋은 곳이 No-IP입니다. 회원가입만 하면 3개까지 무료 주소를 만들 수 있어요.

✅ No-IP 가입 & DDNS 생성 순서:

  1. No-IP 접속 → https://www.noip.com
  2. 무료 계정 생성 (이메일 인증 필요)
  3. Dashboard → [Dynamic DNS] → [Create Hostname]
  4. 예: mynas.ddns.net 입력 → 도메인 선택
  5. Target IP는 현재 공유기 공인 IP 자동 입력됨

⚠️ No-IP 무료 플랜은 30일마다 로그인 갱신이 필요합니다!

공유기 자체에서 무료 DDNS를 생성가능합니다.

공유기 DDNS설정 검색하기

공유기 포트포워딩 설정 방법

이제 DDNS 주소로 접속을 할 수 있게 되었으니, NAS와 연결된 라즈베리파이에 외부에서 들어올 수 있도록 포트포워딩을 설정해줘야 합니다.

🌐 기본 개념:

공유기는 외부에서 들어오는 요청을 내부 장비(NAS)로 연결해줘야 해요. 이 연결 통로가 바로 포트입니다. 우리는 이 포트를 열어서 NAS로 접속할 수 있게 만드는 거예요.

🔧 설정 방법 (공통):

  1. 공유기 관리자 페이지 접속 (보통 192.168.0.1 또는 192.168.1.1)
  2. [고급 설정] → [포트포워딩] 또는 [NAT 설정]
  3. 새 포트포워딩 추가
  4. 서비스 포트: 445 (SMB/Samba용), 또는 22 (SSH용)
  5. 내부 IP: 라즈베리파이의 IP 주소 (예: 192.168.0.10)
  6. 내부 포트: 위와 동일하게 설정

포트포워딩 설정을 저장하면, 외부에서 mynas.ddns.net:포트번호 형식으로 NAS 접속이 가능해집니다.

포트포워딩
포트포워딩

 

OMV에서 포트 확인 및 고정 IP 설정

다음으로는 OMV에서 사용하는 포트를 확인하고, 라즈베리파이 IP가 바뀌지 않도록 고정 IP 설정을 해줄 차례예요.

 

OMV에서 포트 확인 및 고정 IP 설정

공유기에서 포트포워딩을 했어도, 라즈베리파이의 IP가 자꾸 바뀐다면 다시 설정해야 하는 불편이 생깁니다. 그래서 반드시 IP를 고정해두는 게 좋아요.

📍 OMV에서 고정 IP 설정

  1. OMV 대시보드 → 시스템네트워크인터페이스
  2. eth0 클릭 → 편집
  3. IPv4 → DHCP → Static(고정)으로 변경
  4. 예: 192.168.0.10, 서브넷: 255.255.255.0, 게이트웨이: 공유기 IP
  5. DNS 서버도 동일하게 설정 (예: 8.8.8.8)

이제 재부팅해도 IP가 바뀌지 않고, 공유기에서 포트도 정상적으로 연결 유지됩니다.

보안을 위한 체크리스트

외부 접속은 편리한 만큼, 보안에도 신경 써야 합니다. 다음 팁을 꼭 지켜주세요.

  • ✅ 관리자 비밀번호는 반드시 변경
  • ✅ 외부 접속용 포트는 445, 21 등 기본포트보다 비표준 포트 사용 권장
  • ✅ 필요할 때만 외부 접속 허용 (스케줄 설정 or 수동 ON/OFF)
  • ✅ 불필요한 서비스는 꺼두기 (FTP, SSH 등)

⚠️ 절대 ‘모든 포트 개방’이나 ‘퍼블릭 공개’는 하지 마세요!

이제 어디서든 내 NAS에 접속할 수 있게 되었어요. 처음엔 어렵게 느껴졌던 DDNS와 포트포워딩도, 막상 하나씩 해보니 생각보다 간단하죠? 이번 편을 통해 진짜 ‘개인 클라우드’가 뭔지 제대로 구현해볼 수 있었던 것 같아요. 6편에서는 NAS를 더 똑똑하게 만들어주는 자동 백업, 미디어 서버, 스케줄링 같은 고급 기능들로 넘어가 보겠습니다!

Comments